반응형
그린벨트 해제 가능 지역으로 서울시 및 인근 지역 대상으로 11월에 대상지가 공개된다고 합니다. 2012년 이병박 정부 이후 12년 만에 장기전세주택 및 신혼부부를 위한 국민 구거안정 주택공급 확대방안을 발표했는데요.
서울시와 인근 그린벨트 해제 해 8만 가구 규모의 신규택지를 조성해 올해 11월 5만 가구 내년 3만 가구를 공급한다고 합니다. 그럼 이번 그린벨트 해제 지역으로 서울에는 어떤 효과를 가질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목적
12년 만에 성사된 그린벨트 해제 지역으로 서울 시장인 오세훈의 목적은 정부의 요청에 따라 저출생으로 인한 인구감소와 청년세대의 주택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대책
2. 목표&효과
계속되는 부동산 가치 상승을 낮추기 위해 이번 그린벨트 해제 지역으로 인한 서울 부동산 가격 하향 안정화와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위해 중앙정부와 함께 안정적인 주택공급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발표
3. 해제 범위
현재 서울시 전체 그린벨트 149.09㎢ 면적 중 토지거래허가지역으로 묶인 23.93㎢를 제외한 125.16㎢를 올해 말까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 해제 등의 조치 계획
4. 대상지
그린벨트 해제 대상 지역 발표는 11월에 예정이지만 제대로 관리되지 않는 훼손지나 보존가치가 낮은 지역 중 낮은 경사, 경작지, 창고 등으로 훼손이 심한 곳 위주로 풀며 집단취락지구 쪽은 가급적 배제할 계획으로 발표
반응형